2013년도 기후변화대응 환경기술개발사업 기술수요조사 |
❑ 수요조사 취지 및 목적
환경부에서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라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기후변화대책을 더욱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정책기반을 마련하기 위하여 “기후변화대응 환경기술개발사업”을 기획하고 있습니다. 본 수요조사는 ’13년도 신규과제를 발굴하기 위한 것이오니, 국내 연구자 및 전문가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조사대상 및 방법
◦ 대상 : 환경관련 산업체, 대학, 국·공립 연구기관 등 관련 전문가
◦ 참여 기간 : 2012. 10. 31(수) ~ 2012. 11. 23(금)
◦ 참여 방법 : 수요조사서 직접 작성 후 메일 송부(전성호 연구원, E-mail : climate@keiti.re.kr )
※ 우편으로 동 기술수요조사서를 받으신 분께서는 아래의 문의처로 연락을 주시면 이메일로 기술수요조사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 작성 방법 : <아래> 수요조사양식을 활용하여 5페이지 이내로 작성 요망
◦ 문의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미래환경사업실 전성호 연구원 (Tel: 02-3800-365, E-mail: climate@keiti.re.kr , Fax: 02-3800-355)
❑ 사업개요
사업목적 |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변화 적응 정책의 추진을 위한 통합정책기반기술의 확보로 저탄소 녹색성장 사회 구현에 기여 |
사업기간 |
2013년 ~ 2022(10년간) |
필요성 |
◦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2020년 BAU 대비 30% 감축)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정책기반기술 필요 ◦ 기후변화로 인한 천문학적 피해비용을 줄이기 위한 적응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정책기반기술 필요 |
사업개요 (분야/아이템) |
◦ 온실가스 감축 통합관리 정책기반기술 ◦ 기후변화 적응 통합관리 정책기반기술 |
1. 기술분야 및 개요
국가적 차원에서 기후변화 대응정책을 효과적․효율적으로 통합관리 하기 위한 공공기술
대분야 |
개 요 |
프 로 그 램 |
온실가스 감축 통합관리 정책기반기술 |
(배경) 국가 감축목표 설정(‘20년 BAU 대비 30%), 목표관리제 및 배출권거래제의 성공적 시행을 위해 한국적 특성을 고려한 감축 모형 및 관련 DB 필요 (목적) 국내 현황에 적합한 온실가스 감축 모형 및 기술 DB 구축, 배출·흡수계수 검증평가 기술 개발 |
◦ 온실가스감축 통합분석 기반기술 개발
◦ 국가 인벤토리 고도화 기반기술 개발 |
기후변화적응 통합관리정책기반기술 |
(배경)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수립 후, 지자체별 시행계획 수립이 의무화되고 있으나 정책 수립 방법 및 이행 방안에 대한 지원시스템은 아직 미흡 (목적)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에 대한 통합적인 기술개발을 통한 기후변화 적응대책의 개선 및 효율적인 이행 지원 |
◦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통합 평가 기반기술개발
◦ 기후변화적응 관리 기반기술 개발 |
2. 과제 추진방식
추진방식 |
내 용 |
연구단 |
o 환경정책의 실현을 위해 장기, 집중투자가 필요한 공익성격이 큰 기술을 연구단장 책임하에 개발하는 과제 (지원규모: 연 20억 내외, 지원기간: 5년 이내) |
통합 |
o 총괄과제와 세부과제로 구성·수행되는 단위과제로, 2가지 이상의 독립된 세부기술개발을 통합한 일체형 기술을 개발하는 과제(수요자기반형의 경우 수요기업(대기업·중견기업)이 총괄주관연구기관으로 신청) (지원규모: 연 10억원 내외, 지원기간: 3년 이내) |
개별 |
o 하나의 독립기술을 개발해 기술의 정책활용을 달성하는 과제 (지원규모: 연 3억원 내외, 지원기간: 3년 이내) |
3. 중분야별 세부 기술(코드번호)
기후변화대응 환경기술개발사업 수요에 대한 세부기술 코드번호는 아래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온실가스 감축 통합관리 정책기반기술
프로그램 |
목표 기술 |
세부 기술 |
코드번호 |
온실가스감축 통합분석 기반기술 개발 <1-1> |
한국형 온실가스 감축모형 개발 |
- 기존 상향식 감축모형을 국내 현실에 적합하도록 개선 |
1-1-1 |
- 온실가스 감축의 거시경제영향 분석 ․ 평가를 위한 하향식 모형 고도화 |
1-1-2 | ||
- 감축목표 재설정 및 배출권 할당을 위한 감축기술 DB구축 |
1-1-3 | ||
기후-대기 통합관리 기반기술 개발 |
- 기후-대기 통합관리 기반구축 |
1-1-4 | |
국가 인벤토리 고도화 기반기술 개발 <1-2> |
온실가스 인벤토리 고도화 기반기술 개발 |
- 2006 IPCC G/L 국내 적용기법 개발 |
1-2-1 |
- 상 ․ 하향식 온실가스 배출량 비교 평가 및 인벤토리 최적 관리기술개발 |
1-2-2 | ||
- 온실가스 인벤토리 불확도 산정 및 품질관리 기술개발 |
1-2-3 |
기후변화 적응 통합관리 정책기반기술
프로그램 |
목표 기술 |
세부 기술 |
코드번호 |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통합평가 기반 기술개발 <2-1> |
영향 및 취약성 통합 평가모델 개발 |
- 감축 시나리오와 연계한 사회-경제 변화 시나리오 개발 |
2-1-1 |
- 영향 및 취약성 평가모형 통합체계 개발 및 모듈화 |
2-1-2 | ||
- 통합영향평가 및 취약성 평가를 위한 DB 구축 및 상세화 기법 개발 |
2-1-3 | ||
단기체류 기후변화 유발물질을 고려한 평가기술개발 |
- 단기체류 기후변화 유발물질과 기후변화간 상호영향 메커니즘 개발 |
2-1-4 | |
기후변화적응 관리 기반기술 개발 <2-2> |
영향 및 취약성 통합 평가모델 개발 |
- 기후변화 적응기술의 경제성 평가 기술개발 |
2-2-1 |
- 적응대책 ․ 기술 인벤토리 구축 및 관리기술 개발 |
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