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업무 연구개발사업 전문가 평가단 위원 신청서 작성 요령>
- 과학기술인등록번호를 발급받은 사항이 없을 경우에는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
홈페이지(http://www.ntis.go.kr)에서 발급받아 기입하여 주십시오.
- 직장은 현 근무지를 대상으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 직위(직급) : 공무원은 4~5급(해당직렬 등 명시), 공기업은 임원, 1급, 2급, 3급, 연구기관은 수석연구원,
책임연구원, 연구원, 학계는 정교수, 부교수, 조교수, 전임강사, 업계는 사장, 전무, 상무, 이사, 부장, 과장
등으로 작성
- 학력사항은 대학교 이상의 학력만 기재하시고 학위는 학사, 석사, 박사, 기타로 구분하고 졸업은 이수,
졸업, 수료, 기타로 구분하여 기재하여야 합니다. 다만, 고졸자로서 평가위원 자격이 있을 경우에는 출신고교를
기재합니다.
- 연구(평가)분야는 전문연구분야 및 평가가능 분야를 기재합니다.
- 경력사항은 전문(관련)분야에 관련한 업무에 종사한 기간, 근무처, 직위, 주요업무 경력을 기재합니다.
- 평가위원 등 활동경력은 타부처 및 공공기관의 평가위원 또는 자문위원으로 등재된 등록기관, 등재된 전문
분야 및 세부 전공분야를 기재합니다.
- 상기 각 항에 대한 기재내용이 많은 경우에는 별지를 사용하셔도 됩니다.
<붙임. 기상기술분류체계>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설명 |
코드 |
기상/ 기후/ 지진 (A) |
기상관측 기술 (A01) |
기상관측 및 분석기술 |
지상 및 고층의 기상을 과학적 방법으로 관찰ㆍ측정하는 기술 |
A0101 |
기상원격탐사기술 |
레이더, 위성, 라이더, 라디오미터, 윈드프로파일러 등의 원격탐사장비로 기상현상을 관측하고 관련 자료를 산출하는 기술 |
A0102 | ||
해양기상기술 |
해양활동에 적합하도록 해양기상 관측ㆍ예측자료를 산출하는 기술 |
A0103 | ||
우주기상기술 |
우주활동에 적합하도록 우주기상 관측ㆍ예측자료를 산출하는 기술 |
A0104 | ||
군사기상기술 |
군사활동에 적합하도록 기상관측ㆍ예측자료를 산출하는 기술 |
A0105 | ||
기타 기상관측기술 |
달리 분류되지 않는 기상관측기술 |
A0199 | ||
기상예보 기술 (A02) |
초단기예보기술 |
수 시간 이내 기상현상을 분석 및 예보하는 기술 |
A0201 | |
단기예보기술 |
오늘·내일(또는 모레)의 기상현상을 분석 및 예보하는 기술 |
A0202 | ||
중기예보기술 |
모레부터 10일까지의 기상현상을 분석 및 예보하는 기술 |
A0203 | ||
장기예보기술 |
예보대상 기간이 11일 이상인 예보로서 1개월, 3개월, 계절단위로 분석 및 예보하는 기술 |
A0204 | ||
자연재해저감기술 |
황사, 태풍, 호우, 대설 풍랑 등 위험기상현상으로 발생하는 자연재해를 분석, 예보, 관리하는 기술 |
A0205 | ||
사후분석기술 |
각종 기상현상과 특이기상을 분석하는 기술 |
A0206 | ||
기타 기상예보기술 |
달리 분류되지 않는 기상예보기술 |
A0299 | ||
수치예보 기술 (A03) |
수치모델 관련기술 |
초단기모델․재해기상모델․지역모델․전지구모델․앙상블예측모델 기술 및 모델역학과정․모델물리과정․수치모델 병렬화․수치모델 최적화․수치모델 검증 및 진단 관련 기술 |
A0301 | |
수치예보 자료동화 기술 |
편차 보정 기술, 위성자료 자료동화 기술, 레이더자료동화기술, 지표면 자료동화기술, 종관자료동화기술, 모델오차 산출기술, 관측오차 산출기술, 관측연산자 및 어조인트 모델 관련 기술, 관측자료민감도 산출기술, 변분자료동화기법, 앙상블자료동화기법 |
A0302 | ||
수치예보 전․후처리 기술 |
관측자료 품질검사 기술, 보거싱자료 산출기술, 관측자료 저장 형식 기술, 수치자료 그래픽 작성 기술, 통계모델 기술, 전산 일기도 산출기술, 예보 가이던스 산출기술, 예보자료 저장 관련 기술, 수치예측자료 해석 기술 |
A0303 | ||
기타 수치예보기술 |
달리 분류되지 않는 수치예보기술 |
A0399 | ||
기후감시 ․예측 및 적응기술 (A04) |
지구시스템 모델링 기술 |
대기모델링, 해양모델링, 지표/식생모델링, 대기화학모델링, 에어로졸수송모델링, 생태역학모델링, 결합기술 및 모델의 병렬ㆍ최적화기술 |
A0401 | |
기후변화 관측 및 감시‧분석기술 |
온실가스 관측 및 감시‧분석 기술, 오존, 에어로솔 관측 및 감시‧분석기술, 지구 기후시스템 관측 및 감시‧분석기술, 육상 및 해양 생태계 변화 감시‧분석 기술 |
A0402 | ||
기후변화예측기술 |
기후변화 예측기법기술, 기후자료 처리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기술, 국가 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 기술, 극한 현상 및 위험 수준의 기후변화 평가 기술 |
A0403 | ||
기후변화 원인 규명 기술 |
기후변동성 분석 기술, 기후변화 탐지 기술, 이상 기후 분석 기술, 기후물리과정 및 물질순환 분석 기술, 고기후 재현 기술 |
A0404 | ||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기술 |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 취약성 평가 및 적응 기술, 기후변화 피해 완화 기술, 기상자원 기술 |
A0405 | ||
기타 기후감시ㆍ예측 및 적응기술 |
달리 분류되지 않는 기후감시ㆍ예측 및 적응기술 |
A0499 | ||
기상서비스 산업기술 (A05) |
기상정보 융합서비스기술 |
기상정보를 기본으로 다양한 요구를 수용한 컨텐츠 제공 및 솔루션 기술 |
A0501 | |
기상영향평가기술 |
수치모델링과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인위적인 구조물의 기상재해 영향정도를 평가하는 기술 |
A0502 | ||
기상감정기술 |
감정요소와 감정목적에 따라 적정한 감정평가정보를 제공하는 기술 |
A0503 | ||
기상컨설팅기술 |
기상정보를 분석ㆍ평가하여 경영활동에 대해 조언을 제공하는 기술 |
A0504 | ||
기상정보유통기술 |
기상정보를 최종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서비스하기 위한 네트워킹 기술, 네트워크 인프라 개발 기술 |
A0505 | ||
기상조절기술 |
인공증우(설)기술, 위험기상(안개, 폭설 등)절감 기술 |
A0506 | ||
기타 기상서비스 산업기술 |
달리 분류되지 않는 기상서비스산업기술 |
A0599 | ||
기상장비 산업기술 (A06) |
기상장비생산(제조) 기술 |
각종 기상센서를 포함한 기상측기 생산 및 제조 기술 |
A0601 | |
기상장비 부품 및 소재 개발 기술 |
기상장비 부품 및 소재 개발 기술, 융합기술 등을 이용한 신소재 부품기술 |
A0602 | ||
기상장비 설치 및 유지보수 기술 |
기상장비 설치 및 유지보수 기술, 기상장비 운영 및 검교정 기술 |
A0603 | ||
기타 기상장비산업기술 |
달리 분류되지 않는 기상장비산업기술 |
A0699 | ||
지진 및 지진해일 대응기술 (A07) |
지구내부 모델링기술 |
지구내부(천부․심부) 구조 모델, 지체구조모델, 지진원 및 지진파 전파모델 확립을 통한 지구내부의 구조와 지진발생 특성 및 지진파 전파를 규명하는 기술 |
A0701 | |
지진재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