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소식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 전동화 자동차 배터리 및 BMS 입문 세미나 개최 안내

작성자 : 대한환경공학회 작성일 : 2024-05-09 조회수 : 821

 

 

전동화 자동차 배터리 및 BMS 입문 세미나 개최 안내 

 

 

 

 

* 행사안내


BMS는 Battery Management System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약어로,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그리고 전기 그리드 시스템과 같은 고용량 배터리 시스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BMS는 셀 밸런싱, 과충전 및 과방전 방지, 폭발 위험 감지 및 확인, 충전 제어, 온도 관리 등의 기능을 통해 배터리 셀을 최적으로 관리하며 에너지 효율 높이고 수명을 연장하는 등 최적의 배터리 성능과 안전성을 제공한다.​ 즉, 전동화 자동차에 있어선 배터리 고장을 예방하고 안정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핵심 장비로 두뇌와 같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내연기관차 시대의 종말을 예고하며 다가오는 전동화 자동차 시장에서 사용자의 안전 및 만족도와 직결되는 배터리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BMS의 고도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번 BMS 입문 과정은 ESS와 전동화 자동차 배터리 팩 등과 관련한 선도적 연구로 관련 기술의 발전을 견인하고 있는 ‘BMS 국내 1호 박사’ 충남대학교 김종훈 교수가 주관하여 다양한 기능을 갖춘 첨단 BMS에 대한 폭 넓은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국내, 외 다수의 기업이 BMS 기술 고도화를 위해 팔을 걷고 나섰다. 특히,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ML) 기술이 적용된 BMS는 배터리의 상태를 더욱 정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셀 균형화를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이번 교육이 BMS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갈수록 커지고 있는 시장 상황에서 전문인력 양성 기반의 초석이 되기를 바란다.

 

 

1. 주제 : 전동화 자동차 배터리 및 BMS 입문 과정

           - Step 1: 내연기관 자동차 VS 전동화 자동차 기본 이해 - 7/5(금)

           - Step 2: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이해 및 적용사례 - 8/23(금)

           - Step 3: 전동화 자동차 BMS 향후 중요 관심 분야 - 8/30(금)

 

2. 일시 : 2024-7-5, 2024-8-23, 2024-8-30  10:00-17:00

3. 장소 :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 2층, 사파이어홀(여의도 소재)/ 온라인 홈페이지

4. 주최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

5. 문의 : 02-545-4020 / kecft@kecft.or.kr

 

6. 관련 페이지 : https://www.kecft.or.kr/shop/item20.php?it_id=1715132566

 

7. 주요 프로그램

 

Step 1: 내연기관 자동차 VS 전동화 자동차 기본 이해

 

 * 내연기관 자동차와 전동화 자동차 비교 및 전장 시스템 INTRO

 - xEV(HEV/PHEV/EV) 필요성 및 이의 비교 

 - xEV 구동시스템 및 이의 전장 개요 

 - xEV 고전압 배터리시스템 개발/시장 동향 

 - EV 고전압 배터리시스템 세부사항 소개

 

 * 리튬이온 배터리 소개 (전기화학적&전기적 접근)

 - LFP 배터리 필요성 및 이의 개발/시장 동향 

 - 삼원계 / LFP 배터리 소재 및 전기화학적/전기적 특성 비교

 

 * 전동화 자동차 배터리팩 소개 (기계적&전기적 접근)

 - 효율적 배터리팩 설계 방안(모듈 표준화 등) 

 - 배터리 소재에 적합한 배터리팩 최적 설계(Cell-to-pack 등)

 

 * Agenda 이외의 추가 요청 주제 교육 및 질의 응답

 

Step 2: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이해 및 적용사례

 

 * 고전압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소개 및 필요성

 - xEV(HEV/PHEV/EV) BMS 개발/시장 동향 

 - 他 전력운용분야 BMS 개발/시장 동향 

 

 * 고전압 배터리시스템 BMS H/W 기초

 - BMS H/W 구성 및 세부 기능 

 - BMS H/W 설계 기본 프로세스(펌웨어 포함)

 

 * 고전압 배터리시스템 BMS S/W 기초

 - 전기적 특성실험 필요성 및 이의 절차 소개 

 - 전기화학적 모델링 및 전기적 등가회로 모델링 비교 

 - 전기적 등가회로 모델링 설계 절차 

 - SOx 추정알고리즘 설계 절차

 

 * BMS 최적화 적용 사례 (데모 시연)

 

 * Agenda 이외의 추가 요청 주제 교육 및 질의 응답

 

Step 3: 전동화 자동차 BMS 향후 중요 관심 분야

 

 * BMS 향후 중요 관심 분야

 - 배터리 열화모델 설계 및 수명예측(인공지능 등) 

 - 고전압 배터리시스템 열관리(발열모델, 냉각방식 등) 

 - 고전압 배터리시스템 성능/안전성 시험(인증), 신뢰성 평가 

 - 고전압 배터리시스템 화재/안전관리(인공지능 등) 

 - 재사용/재활용/재제조, SDV, Wireless BMS 등 활용방안

 - 임피던스(AC)기반 배터리 진단기법

 

 * BMS 고도화 적용 사례 (데모 시연)

 

 * Agenda 이외의 추가 요청 주제 교육 및 질의 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