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도 한강수계 환경기초조사사업 연구과제 추가 수요조사 계획 |
□ 추진 목적
○ 물환경 기초자료 구축 및 유역내 수질개선사업 지원을 위한 현안 대응 등 `25년도 추진필요성이 있는 신규 연구과제 발굴
□ 그간 경과
○ `24.5.21.〜6.14. `25년도 환경기초조사사업 연구과제 1차 수요조사 실시
- 연구과제 2건 접수(수자원공사)
○ `24.6.27.〜6.28. 환경기초조사사업 공동성과발표회내 연구 아이디어 조사 실시
- 연구 아이디어 23건 접수
○ `24.7.22.〜8.20. 환기조 연구네트워크 분과회의내 연구제안서 및 아이디어 공유
- 연구제안을 바탕으로 한 중점 연구주제 도출 논의
□ 조사 개요
○ (조사대상) 수계위(원주청, 5개 시·도 등), 환경부(과학원, 홍수통제소 등), 녹색환경지원센터 등
○ (조사기간) 2024. 9. 25. ∼ 10. 22.(4주간)
○ (접수방법) 공문을 통한 접수
○ (가용예산) `25년 2,440백만원 중 신규과제 380백만원
□ 추진 절차
연구과제 수요조사 | → | 연구제안서 제출 | → | 사전검토 | → | 과제선정 심의회 | → | 과제추진 |
[수계위] | | [관련기관 등] | | | | [수계위] | | |
○ (사전검토) 환기조 사업 목적 부합성, 중복·유사성 등 검토
- 연구 네트워크*, 사무국 및 5개 시·도 등 관련기관 검토의뢰 후 과제심의회 상정
* 「한강수계 환경기초조사사업 연구 네트워크」내 전문가 인력풀을 이용한 기술검토
- 검토결과 타당성 미흡시, 선정후보목록에서 제외
○ (과제선정심의회) 사업 목적에 부합하되 시급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
- 5단계 기본계획 추진과제 및 사전검토 완료 과제를 대상으로 심의
※ 구성: 사무국, 원주청, 5개 시·도, 추천전문가 등 15명 이내
□ 향후 추진일정
○ 과제심의회 개최 및 과제 선정(11월). 끝.
붙임 환경기초조사사업 5단계 기본계획에 따른 연구분야 분류 1부. 끝.
[붙임] 환경기초조사사업 5단계 기본계획에 따른 연구분야 분류
대 분 류 | 중점연구 영역 | 달성목표 |
① 수질환경 개선 및 감시 | 주요 지천의 수질오염 원인조사 중소유역의 오염원 변화에 따른 지천 수질 영향 조사 상수원 인근의 미량 유해물질 분포 및 오염경로 조사 미세플라스틱의 이동경로 및 취수원 영향 조사 호소 및 보 구간 등 정체수역에서의 부영양화 원인조사 및 제어방안 | 오염원조사 및 수계내 주요인자 조사를 통한 수질환경개선 |
② 수생태건강성 회복 및 보전 | 수생태 모니터링 수생태복원 및 중점관리지역 기후변화 취약지역 적응적 수생태계 관리방안 | 팔당상류 지류지천의 수생태 건강성 및 변화양상 파악 및 예측 |
③ 물순환 개선 및 유역오염원 관리 | 수문기상특성 및 유역환경변화를 고려한 중권역별 물순환구조 분석 한강수계에 적합한 물순환 및 비점오염원 개선 방안 제시 물순환 개선이 하천유량 및 수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수질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지상의 오염원에 대한 현황 파악 및 해결 |
④ 수환경 복합계측 | 복합계측을 통한 조류 조사 상수원 관리 수질·수량·수생태 복합조사 오염지류의 본류 영향범위 조사 | 수리·수질·수생태의 복합조사·분석을 통한 수환경보전 |
⑤ 통합물관리 정보 구축 | 유역관리기법과 제도기반 마련 활용도 높은 예측자료 생산 물통합정보 관리 기술 향상 | 위 4가지 분류의 연구과제 결과를 융합하여 유역관리정책에 적용할 수 있는 정보 생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