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소식

* 정복영 교수님(중앙대학교) “탄소중립개론” 출간 *

작성자 : 대한환경공학회 작성일 : 2025-07-01 조회수 : 5

* 정복영 교수님(중앙대학교) “탄소중립개론” 출간 *

 

 

 

우리 학회 회원이신 정복영 교수님(중앙대학교)께서 

지난 2025년 6월 19일 “탄소중립개론”을 출간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책소개

1751329117_m6IT1Y9VYs.jpg

탄소중립개론저자 소개글

오늘날 우리는 탄소중립(Net-Zero)’이라는 말이 더 이상 낯설지 않은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의미를 이해하고, 기후변화라는 인류 공동의 위기를 어떻게 경제와 기술, 사회제도 속에서 풀어나가야 할지를 체계적으로 배우기는 쉽지 않습니다. 바로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저는 탄소중립개론을 집필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단순한 환경서가 아닙니다. ‘탄소중립을 경제, 과학, 정책, 기술, 산업, 사회, 디지털 등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여 통합적으로 설명한 개론서 중 하나입니다. 각 장은 기후과학의 원리에서 출발하여, 경제학적 분석, 국제정책과 국내제도의 흐름, 탄소시장과 무역규제, 기업의 ESG 공시체계, 디지털 MRV 기술, 시민사회의 역할, AI 기반 감축전략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영역을 아우릅니다. 이론과 실제, 규범과 과학, 정책과 기술의 경계를 넘나들며 독자들에게 실천적인 통찰을 제공합니다.

 

저는 기후경제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에서 세 학기 동안 석사 과정 학생들과 함께 수업을 진행하며, 다양한 토론과 과제를 통해 탄소중립을 어떻게 가르치고 이해시킬 것인가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해왔습니다. 실제 강의와 현장 사례, 산업계와 행정 경험을 접목한 결과, 책 속에는 교과서 이상의 깊이와 현장성이 함께 담기게 되었습니다. 일방적 전달이 아닌, 독자 스스로 사고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도 이 책의 큰 특징입니다.

 

탄소중립개론은 정책입안자, 기업 실무자, 연구자, 그리고 미래를 준비하는 학생 모두에게 권할 수 있는 책입니다.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특정 분야만의 노력으로는 부족하며, 과학적 이해와 정책, 산업, 사회 전반의 통합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 책은 환경부와 대통령실 등 다양한 정책 현장에서의 실무 경험, 미국 환경청과 월드뱅크에서의 국제 협력 경험, 그리고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의 강의와 토론을 통해 얻은 통찰을 바탕으로 집필되었습니다. 세상을 바꾸는 일은 사람의 생각을 바꾸는 일에서 시작됩니다. 탄소중립개론이 그런 변화를 이끄는 작은 흔들림이 되기를 바랍니다.

첨부) 저자소개, 집필동기, 독자층, 표지